“HMM Stake Acquisition: Buyer and Seller Dynamics”

Exploring HMM Stake Sale and the Shifting Possibility of Comprehensive Divestment

Recently, the strategic decisions of Korea Development Bank (KDB) and the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KOEM) under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garding the potential stake sale of HMM (formerly Hyundai Merchant Marine) have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KDB is reported to be considering divesting its held stake (36.02%) for management of the BIS ratio, while KOEM is likely to continue its role as a supporter of HMM while retaining its stake. The value of KDB's stake is approximately KRW 8.2 trillion based on the previous day's closing price, making it a feasible size for domestic buyers, with the acquisition burden reduced to half, as outlined by industry projections[2].

Actual Trend of Transactions and Changes in Acquiring Entities

HMM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preferred negotiator for the acquisition of the bulk, tanker, and LPG business division of SK Shipping. This is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KOEM's intention to diversify its business portfolio beyond container shipping. Consequently, there is growing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partial stake sales rather than HMM being the seller. Experts suggest that it would be most realistic for KDB to only divest its stake or for both institutions to sell some of their stakes. In this scenario, the deal size would decrease to the range of KRW 7-8 trillion, and with guarantees for management rights through shareholder agreements, domestic companies could also actively engage in acquisitions[2].

Summary Information

Item Details
Buyer Information Under consideration (multiple potential buyers including domestic companies)
Seller and Target Information Korea Development Bank (36.02% stake), KOEM (possibility of retaining stake)
Target Company Financials Value of KDB's stake: Approximately KRW 8.2 trillion (based on previous day's closing price)
Potential Deal Valuation Range of KRW 7-8 trillion (in case of partial stake sale)
Timing of Transaction NA
Advisory Firm Information NA

Source: Daum News, May 24, 2025[2]


HMM 지분 매각 논의와 통매각 가능성 변화

최근 HMM(전 한진해운)의 지분 매각과 관련해 산업은행(산은)과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환경공단(해진공)의 전략적 선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산업은행은 BIS 비율 관리 차원에서 보유 지분(36.02%)의 매각을 추진할 수 있으며, 해진공은 지분을 유지하면서 HMM의 조력자 역할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산은 지분의 가치는 전날 종가 기준 약 8조 2,000억 원으로, 인수 부담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어 국내 원매자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2].

실제 거래 동향과 인수 주체의 변화

HMM은 최근 SK해운의 벌크·탱커·LPG(액화석유가스) 사업부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이는 컨테이너선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해진공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이에 따라 HMM이 매각 주체가 아닌 인수 주체로 나서면서, 일부 지분 매각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산업은행 지분만 매각하거나 양 기관 지분을 일부 매각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평가합니다. 이 경우 딜 사이즈는 7~8조 원 수준으로 줄어들고, 주주간 계약으로 경영권을 보장받는 조건 하에 국내 기업도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2].

요약 정보

항목 내용
매수자 정보 검토 중 (국내 기업 등 잠재 인수자 다수)
매도자 및 거래 대상 정보 산업은행(36.02% 지분), 해진공(지분 유지 가능성)
거래 대상 재무정보 산은 지분 가치: 약 8조 2,000억 원(전날 종가 기준)
잠재 거래 valuation 정보 7~8조 원 수준(지분 일부 매각 시)
거래 시점 NA
자문사 정보 NA

출처: Daum 뉴스, 2025년 5월 24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