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Bankruptcy Court Grants Approval for Pre-Approved M&A Pursuit by Homeplus
The Seoul Bankruptcy Court's Division 4, headed by Judge Jeong Jun-young, made a decision on June 20, 2025, allowing Homeplus to pursue a merger and acquisition (M&A) before endorsement of its restructuring plan and appoint a sales manager. This ruling represents the first instance where the court has authorized pre-approved M&A to facilitate early debt repayment and corporate normalization in the course of Homeplus’ restructuring process. The court stated that through this M&A, early repayment of rehabilitation debts and claims will occur, ensuring advantageous conditions for creditors, employees, and other stakeholders. The sales management position has been entrusted to Samil PwC [1][2][3].
Homeplus Financial Situation and Sale Conditions
Samil PwC, after analyzing Homeplus' financial status, assessed that the company's liquidation value exceeds its going concern value. The going concern value is approximately KRW 2.5 trillion, whereas the liquidation value is estimated at around KRW 3.7 trillion. This disparity is attributed to Homeplus’ total assets, including real estate, amounting to about KRW 6.8 trillion. Both the court and Homeplus confirmed that the sale will proceed through a new share acquisition method, with MBK Partners, the existing shareholder, deciding to gratuitously cancel all of its ordinary shares worth KRW 2.5 trill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fusion of acquisition funds will all be directed into Homeplus, fostering positive financial improvements [1][3][5].
Future Schedule and Employment Stability Measures
The court anticipates that it will take approximately 2-3 months to conclude conditional acquisition agreements, conduct public competitive bidding, and ultimately select the final acquirer. Homeplus emphasized its prioritization of employment stability for its employees without considering segmented sales during the sales process. This M&A pursuit is seen as a crucial turning point for Homeplus to expedite corporate normalization by finding a new owner before the endorsement of the restructuring plan [3][4].
[Summary]
Buyer Information: [Under Review]
Seller and Target Information: [Homeplus, MBK Partners]
Target Financial Information: [Going Concern Value approx. KRW 2.5 trillion, Liquidation Value approx. KRW 3.7 trillion, Total Assets approx. KRW 6.8 trillion]
Potential Deal Valuation Information: [Around KRW 3.7 trillion]
Deal Timing: [Expected final acquirer selection within 2-3 months post-court approval by mid-June 2025]
Advisor Information: [Samil PwC]
법원, 홈플러스 인가 전 M&A 추진 허가 결정
서울회생법원 회생4부(정준영 법원장)는 2025년 6월 20일, 홈플러스가 회생계획 인가 전에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매각주간사를 선정하는 것을 허가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번 결정은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조기 채무 변제와 기업 정상화를 위해 법원이 인가 전 M&A를 허용한 첫 사례입니다. 법원은 M&A를 통해 회생담보권과 회생채권을 조기 변제하고, 채권자와 근로자 등 이해관계인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매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매각주간사는 삼일회계법인이 맡게 되었습니다[1][2][3].
홈플러스 재무 상황과 매각 조건
삼일회계법인은 홈플러스의 재무 상태를 분석한 결과, 회사의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계속기업가치는 약 2조 5천억 원인 반면, 청산가치는 약 3조 7천억 원으로 산정됐습니다. 이는 홈플러스가 보유한 부동산 등 총자산이 약 6조 8천억 원에 달하는 데 기인합니다. 법원과 홈플러스 측은 이번 매각이 신주인수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존 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보유 중인 2조 5천억 원 상당의 보통주를 모두 무상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수자금은 모두 홈플러스로 유입되어 재무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1][3][5].
향후 일정 및 고용 안정 방안
법원은 조건부 인수계약 체결과 공개경쟁입찰을 포함한 최종 인수자 선정까지 약 2~3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홈플러스는 매각 과정에서 분할 매각을 고려하지 않고, 직원들의 고용 안정에 최우선 순위를 둘 계획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M&A 추진은 홈플러스가 회생계획 인가 전 새 주인을 찾아 기업 정상화를 가속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3][4].
[요약]
매수자 정보: [검토 중]
매도자 및 거래 대상 정보: [홈플러스, MBK파트너스]
거래 대상 재무정보: [계속기업가치 약 2.5조원, 청산가치 약 3.7조원, 총자산 약 6.8조원]
잠재 거래 valuation 정보: [3.7조원 수준]
거래 시점: [2025년 6월 중 법원 허가 후 2~3개월 내 최종 인수자 선정 예정]
자문사 정보: [삼일회계법인]